본문 바로가기
해외 자동차 소식

현대차 글로벌 수소차 시장 점유율 1위 질주, 실적 및 전망 분석

by 자동차차차 2022. 8. 31.

전 세계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차가 올해 1~7월 판매량과 점유율에서 모두 1위 자리를 지키며 2위에 랭크된 일본 기업 도요차와의 격차를 더 벌렸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차 넥쏘

 

현대차의 수소차 시장 점유율 1위 질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가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세계 각국 수소 전기차 판매 대수는 1만 89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 236대 팔린 것보다 6.4% 증가했다고 합니다. 

 

수소차 시장은 계속 이어지는 반도체 수급난, 원자재 가격의 상승, 불투명한 사업성 등을 이유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지는 못하는 상황이라고 조사 업체는 분석했습니다. 

 

수소차 판매 업체별 성적

현대차의 성장세

수소 자동차 판매 업체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현대자동차가 꾸준한 판매실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넥쏘 2021년형을 6천100대를 판매했는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5천254대를 팔았던 것에 비해면 판매량이 16.1% 증가한 것입니다. 

 

도요타의 역성장에 따른 격차

반면 일본 기업인 도요타의 미라이 2세대 신모델의 판매량은 2천486대에 불과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4천117대가 팔렸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39.6%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수소차 시장을 선도하는 두 개 기업의 점유율은 현대차 56.0%와 도요타 22.8%로 차이가 33.2% 포인트로 격차가 더욱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혼다의 미비한 실적

3위를 차지한 일본 기업 혼다는 209대를 판매하며 작년 163대를 팔았던 것과 비교해 28.2% 증가했으나 판매대수가 워낙 적어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SNE의 수소차 시장 전망 분석

점유율 확보를 위한 대응책 마련 필요

SNE리서치는 수소차 시장을 두고 지난달에 이어 도요타 판매량이 역성장한 반면 현대차의 성장세를 굳혀가며 선두로 이어갔다고 말하며 도요타는 일본 국내에서 겪고 있는 공급망 이슈와 자연재해에 대외 악재들까지 더해지며 물량 공급에 지속적인 타격을 받는 것을 역성장의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SNE리서치는 기업들의 전기차 시장 중심 전략으로 수소차 시장 성장 정체 요인을 해결하고 점유율 확보를 위해 글로벌 수소차 업체들의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