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대전 이후 자동차 디자인의 발달과정과 1970년대 자동차 디자인 이슈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 대전 이후 자동차 디자인의 발달과정
미국에서의 자동차 디자인 발달
2차 대전 이후 북미와 유럽에서의 자동차 디자인은 약간 다른 전개 방식을 보였습니다. 유럽의 경우 전후 빠른 복구와 중산층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돕기 위해 대중들을 위한 실용적이고 작은 국민 자동차를 개발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하였고, 미국의 경우 화려한 스타일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기술 요소를 넣는 디자인이 중점이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테일핀 스타일인데, 자동차의 성능과는 전혀 무관한 제트 엔진과 날개 형상을 적용한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스타일은 GM의 파이어버드 콘셉트카에서도 드러났는데, 1953년 제작된 캐딜락 엘도라도가 좋은 사례 중 하나입니다. 캐딜락은 자동차 생산 50주년을 기념하여 최고급 컨버터블 모델 캐딜락 엘도라도를 발표합니다. 엘도라도는 황금의 땅이라는 의미로 5.4L V8 엔진을 사용하여 211마력의 파워를 가지고 있었으며, 파워 스티어링, 파워 시트, 자동 변속기, 파워 윈도, 라디오 주파수 탐색기, 캐딜락 최초 곡면이 적용된 앞유리 등 다양한 새로운 기술이 적용이 됩니다. 당시 캐딜락 엘도라도의 가격은 7,750달러로 상당히 비싼 가격에 형성되었지만 캐딜락이라는 브랜드가 명예와 부, 성공의 상징으로 사용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받습니다.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도 사용이 되었으며, 1955년에는 꼬리 날개가 더 커져 강조가 되었습니다. 엘도라도는 큰 V8 엔진을 가리기 위해 커다란 욕조를 덮은 것과 같은 모습의 후드가 특징적입니다. 북미에서는 자동차의 크기를 강조하고 테일핀과 같은 장식 들으 화려하게 부각했습니다.
유럽에서의 자동차 디자인 발달
반면 유럽에서는 장식은 없이 순수한 조형 형태의 자동차를 주로 선보였습니다. 대표적인 자동차가 엘도라도와 비슷한 시기에 공개가 된 메르세데스 벤츠 300SL입니다. 엘도라도와 같이 부를 상징하는 값비싼 승용차였습니다. 엘도라도는 대형 세탄이었던 반면, 벤츠 300SL은 스포츠 쿠페였습니다. 이 두 자동차를 동일 기준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디자인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좋은 비교가 될 수 있습니다. 300SL도 직렬 6기통의 고 배기량의 큰 엔진을 사용했지만 후드를 낮추고자 엔진을 45도 기울여서 배치를 합니다. 스타일을 위해 구조 변경을 취하는 적극적인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것으로 단순히 대형엔진을 가리기 위해 욕조 형태를 씌우는 것보다 진보한 디자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페이스 프레임으로 도어 개구부가 높아 승하차가 어려워지자 지붕이 열리는 걸윙 도어를 적용하여 당대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디자인의 자동차를 만들어냅니다. 제약조건이 있었지만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해 낸 것입니다.
1970년대 자동차 디자인 이슈
오일 쇼크 발생
북미와 유럽의 자동차 디자인이 이렇게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다가 1970년대 오일 파동을 두 차례 겪으면서 새로운 방향성을 가지게 됩니다. 1973년 10월 시리아와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침공하는 욤키루프 전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4차 중동전쟁으로 이스라엘의 욤 키푸르라는 명절에 시리아와 이집트가 함께 대규모 공격을 했습니다. 서방세계가 이스라엘을 지원하겠다고 나섰고 1973년 10월 페르시아만의 석유 수출국 6개국이 제동을 걸었습니다. 원유 가격을 17% 인상을 하겠다고 밝혔으며 이스라엘이 아랍의 점령지역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원유 생산량을 매월 5%씩 감산하겠다고 결정합니다. 이에 석유 수입국들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인플레이션의 가속화, 국제수지 적자 등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됩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산업이 바로 자동차 산업이었습니다.
소형차 디자인의 발달
휘발유 가격 상승으로 인해 대형차 판매량이 부진했고 미국의 빅 3은 유럽과 일본의 소형 자동차 디자인을 도입합니다. 포드의 피에스타와 폭스바겐의 골프가 대표적인 사례이며, 오일 쇼크로 인해 1970년대의 자동차 디자인은 북미, 유럽 할 것 없이 소형화가 가장 큰 이슈가 됩니다. 차체 전체의 크기를 줄일 뿐 아니라 엔진이나 주요 부품들도 소형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연비 효율을 위해 실험을 통해 공기 저항 계수를 줄이는 연구도 진행됩니다. 또한 시장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북미의 자동차 회사들과는 다르게 소형차 위주의 생산을 하였던 일본차들이 약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해외 자동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디자인 콘셉트의 구체화 방법인 렌더링, 프로토타입, 목업 제작 (0) | 2022.04.07 |
---|---|
1980년대 초반과 후반, 1990년대, 2000년대의 자동차 디자인의 흐름 (0) | 2022.03.21 |
국민차 개념의 한계와 GM 자동차 디자인을 진두지휘한 할리 얼의 등장 (0) | 2022.03.16 |
이탈리아의 조각 예술이 접목된 국민차 피아트 500과 디자인의 중요성을 보여준 BMW 미니 (0) | 2022.03.08 |
주요 자동차 초기 모델의 특징과 자동차 디자인 시장의 변화과정 (0) | 2022.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