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콘셉트의 구체화 방법인 렌더링, 프로토타입, 목업 제작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자인 콘셉트 구체화 방법
자동차 디자이너는 디자인의 과정에서 글이나 그림, 도표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들을 시각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스케치가 매우 중요하게 활용이 되는데 스케치가 단순한 그림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으로 생각해낸 것들을 정리하고 펼쳐내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더욱 아이디어를 발전시켜가는 도구로 사용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제품의 디자인 콘셉트가 더욱 구체화될 수 있습니다. 최근 방송이나 여러 다른 매체에서 콘셉트라는 말을 자주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방송의 출연자에게 오늘 의상 콘셉트에 대해서 묻거나 방송의 진행 콘셉트에 대해 묻기도 합니다. 원래 콘셉트가 가지고 있는 사전적인 의미인 개념을 대입해 직역을 하게 되면 오늘 의상 개념이 무엇인가 묻는 어색한 말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사용하는 콘셉트라는 말은 주제라는 말로 의역이 가능한데, 오늘 의상의 주제가 무엇인지, 오늘 방송 진행 주제가 무엇인지라고 바꾸면 더 자연스럽게 이해가 가능한 것입니다. 이처럼 디자인 콘셉트에서도 주제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콘셉트는 디자인의 대상에 테마, 주제와 그 개념에 대한 계획과 구성을 완전하게 세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콘셉트라는 용어는 개념화, 구상, 아이디어, 계획이라는 의미가 가깝다고 할 수 있고, 구체화되어 있는 아이디어지만 아직 제품으로 실체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개념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이디어에 대해 실체화를 하는 단계인 프로토 타입, 시제품이 필요하게 됩니다.
프로토타임 제작에 앞서 아이디어 종합 및 정리 필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것에 앞서 좋은 아이디어를 하나를 골라내고 여러 가능성이 있는 제안들을 하나로 종합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의사결정을 위한 디자인 시각화 과정 중 하나인 디자인 렌더링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자동차처럼 실제 만지고 타는 제품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모델 제작이 같이 이뤄지기도 합니다. 렌더링이라는 말의 사전적인 의미는 특정한 해석이 가미된 연주, 연기, 번역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가 디자인 분야에서는 완성 예상도를 말하고 있으며, 이를 제삼자에게 효과적인 설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색채, 음영, 재질,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한 이미지를 말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렌더링은 디자인을 더 명확하게 표현하는 단계
아이디어 스케치는 간략한 선과 음영을 통해 생각을 표현했다면 렌더링에서는 조금 더 명확하게 형태를 표현하고 실제감 있는 사진화 과정을 통해 이미지를 명확하게 해 사진과 같은 효과를 줍니다. 이 용어는 컴퓨터 그래픽에선 이미 설정이 된 입체 형상 움직임, 텍스처 매핑, 카메라, 조명에 따른 그림자, 농도, 색상 등의 연산 처리를 통해 실감이 나는 3차원 화상을 제작하는 과정이나 기법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평면적인 물체에 그림자나 농도 변화를 통해 입체감이 나타내게 만들어 사실감을 추가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라는 말오 컴퓨터 렌더링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렌더링을 활용하는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머리에서만 있던 디자인 콘셉트를 최대한 실제화하고 구체화하여 글과 이미지를 포함한 문서로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제품의 사양 결정을 하게 됩니다. 디자인 브리프 과정을 통해서 디자인 수행을 위해 배경과 목적에 대한 문서화 작업을 진행했다면 이 단계에선 디자인 브리프를 기준으로 하여 수행한 디자인 결과물을 그림과 글로 정리를 하는 것입니다.
스케치, 렌더링과 함께 진행하는 목업 단계
스케치, 렌더링과 함께 모형 제작을 병행하여 디자인을 추가적으로 발전시키고 정리하며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는데 이러한 단계를 통상적으로 디자인 목업(Mock-up)이라고 말합니다. 목업의 사전적인 의미는 실물 크기 모형을 의미하며 접두어인 Mock의 의미는 가장의, 거짓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사로 사용될 때는 흉내 내어 놀린다는 의미로 사용이 됩니다. 자동차 디자인에서 목업은 실제 자동차를 가장해 흉내를 내는 것이라고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1대 4 정도 스케일 모델, 축소 모형으로 전체 형상을 제작한 이후 1대 1 실물 크기 모델을 제작합니다.
'해외 자동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 활용과 감정이입을 통한 디자인 개선 사례 (0) | 2022.04.20 |
---|---|
자율 주행 자동차 개발 역사와 미국 국방고등기획국인 다파의 그랜드 챌린지 (0) | 2022.04.14 |
1980년대 초반과 후반, 1990년대, 2000년대의 자동차 디자인의 흐름 (0) | 2022.03.21 |
2차 대전 이후 자동차 디자인의 발달과정과 1970년대 자동차 디자인 이슈 (0) | 2022.03.18 |
국민차 개념의 한계와 GM 자동차 디자인을 진두지휘한 할리 얼의 등장 (0) | 2022.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