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입체적 디자인 수행을 위한 도면 활용 방법과 투상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입체적 디자인 수행을 위한 도면 활용
자동차의 입체적인 디자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도면을 그려낼 수 있어야 합니다. 도면이라는 것은 물체의 크기와 모양, 제작 방법과 구조 등을 기존에 정해져 있는 규칙에 맞춰서 문자, 선, 기호 등을 사용해 제도 용지에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도면은 정보 보존의 기능, 정확하게 전달하는 기능,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면 제작을 하는 것을 제도라고 부르는데, 제도라는 것은 대상물의 크기나 모양을 일정한 규칙 및 규격에 따라서 도면에 나타내는 것으로 설계자가 의도한 바를 제작자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자동차 같이 큰 물체를 작은 크기의 도면에다 표현을 하게 될 때는 척도라는 개념을 활용합니다. 척도라는 개념은 물체를 도면에 나타낼 크기 A와 실제 물체의 크기 B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A:B의 형식을 사용하여 표시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 회사에서 1:4 스케일 모듈을 제작을 하게 된다고 했을 때, 이를 쿼터 사이즈 모델이라 말을 합니다. 축적이 1:4이고 여기에서 도면 위의 모델을 1이라는 크기로 표현을 하게 된다면 실제 크기는 4로 도면에 그려진 것에 4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상법을 활용한 도면 제작
자동차 모형을 구입해 본 사람이라면 다이캐스팅이라는 것으로 만들어진 자동차 모형 패키지에 1:18 등으로 표시된 축적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이러한 표시가 모형 사이즈의 18배를 하게 되면 실물 사이즈가 된다는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평면도, 입체도 등을 제작하는 기본 원리는 투상법에 있습니다. 영어로는 Projection이라고 말하는데, 투상법에는 정투상법, 사투 상법, 등각 투상법, 투시 투상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투상법 중 정투상법이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입니다. 정투상법은 영어로 Orthogonal Projection이라고 말하는데, 물체의 각 면을 투 상면에 나란히 배치하고 투상을 하는 방법입니다. 물체의 크기와 무양을 도면에 정확히 나타내고자 할 때 활용됩니다.
자동차 디자인 콘셉트의 구체화 방법인 렌더링, 프로토타입, 목업 제작
자동차 디자인 콘셉트의 구체화 방법인 렌더링, 프로토타입, 목업 제작
디자인 콘셉트의 구체화 방법인 렌더링, 프로토타입, 목업 제작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자인 콘셉트 구체화 방법 자동차 디자이너는 디자인의 과정에서 글이나 그림, 도표 등을 적
carrrr.tistory.com
정투상법 및 등각 투상법, 사 투상법의 정의
정투상법의 영문명인 Orthogonal의 의미는 직교, 직각을 의미하고 있는데, 정투상법을 세부적으로 구분할 때 제 3각법, 제1 각법 등이 있으며 이 중 제 3각법이 가장 많이 활용이 됩니다.
3각 투상법으로 그리게 되면 도면 하단에 사다리꼴과 원이 그려져 있는 아이콘이 있는데, 이 아이콘이 3각 투시도법을 사용해서 그렸다는 것을 의미하는 기호입니다.
1각 투상법과 3각 투상법을 의미하는 기호는 다르며 반시계 방향 오른쪽 위가 1각이고 왼쪽 위가 2각이며 왼쪽 아래를 3각, 오른쪽 아래가 4각이 됩니다. 물체를 1각에 놓아두고 투상을 하는지, 3각에 놓아두고 투상을 하는지에 따라 도면의 형식도 바뀌게 됩니다.
등각 투상법은 물체의 정면과 평면, 측면을 1개의 투상도에 나타내는 투상법으로 운송 수단 좌석 공간 설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 투상법의 경우 경사 투상법이라 하여 설명용 도면으로 많이 활용이 되는 방법입니다.
'해외 자동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디자인의 추세와 그에 따른 3가지 우려 정리 (0) | 2022.05.27 |
---|---|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자동차 디자인 변환 과정과 클레이 모델의 역할 (0) | 2022.05.23 |
핸들과 타이어 구조적 발전과 타이어 사양 표기 방법 (0) | 2022.05.13 |
자동차 디자인를 위한 기본적인 자동차 구성품과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구분 (0) | 2022.05.11 |
자동차 실내 공간 기준과 활용, 외형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상관 관계 (0) | 2022.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