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디자인에 있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자동차 구성품과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분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디자인에 있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자동차 구성품
동력 발생장치와 관련 구성품
자동차를 디자인하는 데 있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자동차의 구성품에 대해 살펴보자면 일단 동력 발생 장치는 자동차 주행에 사용되는 동력을 발생하는 기관인 엔진을 의미합니다. 동력 전달 장치 파워 트레인은 동력 발생 장치에서 나오는 출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들을 의미하며 변속기가 동력 전달장치 파워 트레인에 해당이 됩니다.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등 기타 부품
현가장치라고 불리는 서스펜션 시스템은 노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경의 흡수를 완화하는 장치로 프레임이나 차체, 차축을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스프링, 쇼버 등으로 구성이 됩니다. 조향장치인 스틸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핸들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장치입니다. 제동 장치인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행 중인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고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휠과 타이어는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해주며 노면과 접지력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최근 동력 발생장치의 개발 트렌드
내연기관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개발
최근 개발되는 동력 발생장치는 내연기관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등이 등장을 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성격이 다른 동력원들을 혼합하여 사용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종류에는 4가지 종류로 대략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분
먼저 가솔린과 전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있고 디젤과 전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LPG와 전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있고 마지막으로 가솔린과 수소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있습니다. BMW 750 수소 하이브리드 자동차 모델이 대표적인 가솔린과 수소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주 동력원에 따라 다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 해서 발리는 자동차는 주로 가솔린이나 디젤을 주 동력원으로 하고 전기를 보조적인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GM에서는 생산된 전기차 볼트는 주 동력원이 전기이고 가솔린이 보조적인 동력원으로 활용이 됩니다.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비 배터리 전기자동차의 구분
배터리 전기 자동차의 특징
순수 전기차의 경우에는 대략 2가지 종류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비 배터리 전기자동차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비 배터리 전기자동차로 대표적인 경우가 수소연료 전기차입니다. 태양열 자동차의 경우에도 비 배터리 전기차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테슬라나 스파크, 볼트 등과 같은 배터리 전기차들은 다른 곳에서 만들어져 공급이 되는 전기를 주유를 하듯이 배터리를 충전해서 모터를 구동하여 자동차를 구동하는 원리입니다.
내연기관 자동차들의 발전 과정과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다시 찾아온 이유
내연기관 자동차들의 발전 과정과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다시 찾아온 이유
내연기관 자동차들의 발전 과정과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다시 찾아온 이유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발전 과정 내연기관 자동차가 중심이 된 결정적 이유 1908년 헨리
carrrr.tistory.com
비 배터리 전기자동차의 특징
반면 비 배터리 전기차의 경우 직접 발전을 하는 장치를 하지고 전기를 만들어내서 자동차를 움직이는 원리로 주행을 합니다. 연료 전지차도 배터리에 직접 충전을 하는 것이 아닌 연료로부터 전기를 생성하여 연료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자동차를 주행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전기차와 비 배터리 전기차의 차이는 자동차가 스스로 전기를 만드는지 아니면 다른 곳의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을 해서 사용을 하는 것인지에 따라 구별을 하는 것입니다.
'해외 자동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의 입체적 디자인 수행을 위한 도면 활용 방법과 투상법 (0) | 2022.05.16 |
---|---|
핸들과 타이어 구조적 발전과 타이어 사양 표기 방법 (0) | 2022.05.13 |
자동차 실내 공간 기준과 활용, 외형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상관 관계 (0) | 2022.05.09 |
레벨 4 자율 주행 서비스 상용화와 자율 주행서비스 두가지 개발 방식 (0) | 2022.05.02 |
자율주행 기술 레벨 5의 특징과 자율주행 자동차를 통해 얻는 이점 (0) | 202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