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자동차 소식

자동차 실내 공간 기준과 활용, 외형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상관 관계

by 자동차차차 2022. 5. 9.

자동차 실내 공간 기준과 활용, 외형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상관관계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실내공간 기준과 활용

자동차의 실내 공간 설정에서 가장 흔하게 활용이 되는 기준이 미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가 만든 SAE 95 Percentile입니다. 미국의 성인 남성 신체 치수 기반으로 설정된 모형이나 남성, 여성을 포함한 미국 인구의 97.5%를 만족하는 기준입니다. 운송수단 좌석 공간을 설계할 때는 대부분 보편적으로 사용이 되며 인체 기준의 경우 운전자 시야각을 비롯하여 운전을 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표현하게 됩니다. 운전자 착좌 위치를 지정하는 Seating Reference Point, 페달 위치를 지정하는 데 활용이 되는 Accelerate Heel Point가 특히 중요한 지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향후에 자율 주행이 완전 정착이 되면서 수동 운전이 사라지게 될 경우 힐 포인트나 운전자 전방 시야각 등의 기준은 의미가 퇴색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자동차 실내 공간에서는 유효한 기준이기 때문에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자동차의 외형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상관관계

힐 포인트의 활용

차량의 종류에 따라 운전자 자세 변화에 따른 힐 포인트 중심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스티어링 휠 각도는 전고가 낮은 쿠페 형태의 차량에서 트럭까지 점진적으로 90도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화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 외형을 디자인하는 작업을 하기 이전 차량 용도에 맞는 운전자의 자세를 설정한 다음 외형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자동차 디자인을 하는 데 있어 외형 디자인과 실내 공간 디자인을 별개의 다른 영역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외형 디자인과 실내 공간 디자인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 활용과 감정이입을 통한 디자인 개선 사례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 활용과 감정이입을 통한 디자인 개선 사례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 활용과 감정이입을 통한 디자인 개선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 활용 자동차의 아이디어 스케치는 제품의 외형이나 기능을

carrrr.tistory.com

휠베이스의 활용

추가적인 예를 들자면 앞 차축의 중심에서 뒷 차축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휠베이스에 따른 외형 디자인 및 실내 디자인 설정이 있습니다. 자동차 거주 공간의 경우 휠베이스에 따라 결정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반대로 승차 인원을 몇 명으로 설정을 하는가, 승차 공간을 얼마나 확보를 할 것인가에 따라서 휠 베이가 결정이 됩니다. 동일한 전장을 가진 차라고 해도 휠베이스가 얼마가 되느냐에 따라 승차 공간에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휠을 덮는 공간인 휠 하우징을 피해서 승차 공간 형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일한 전장을 가졌다는 전제하에 휠베이스가 길수록 주행의 안정성도 높아지게 됩니다. 다만 코너링에 있어서는 휠베이스가 길 경우 차의 회전 반경도 크게 됩니다. 이는 소형차와 버스가 동일한 코너를 도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자동차 디자인에 활용되는 그리드 표시

차량의 전체 폭의 크기를 결정하는 휠 트레드도 거주성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휠 트레드는 트랙 위드라고도 불리며 좌우의 타이어 트레드 중심 간 거리를 의미합니다. 보통 우리가 자동차를 그리게 되면 정 측면 그림을 쉽게 떠올리게 되고 바퀴를 두 개 먼저 그리고 시작을 합니다. 단순하게 원형 두 개를 그리는 바퀴이지만 이 두 개의 바퀴를 그려 승차의 편의성과 차량 안정성 등 다양한 요소들을 한 번에 결정을 하게 됩니다. 정 측면의 자동차 모형 한 장을 그리기 전 학습을 해야 할 사항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는데, 기초적인 몇 가지를 알아보면 자동차 비례는 패키징 설계 과정과 레이아웃에 의해 결정이 되고 이 비례를 위해 도면 작업이 진행됩니다. 자동차 회사에서 그리드 표시가 되어 있는 큰 도면을 벽에 붙이고 검은색 등 라인테이프로 형태를 잡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큰 모눈종이에 작업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 모눈종이가 1mm 간격으로 그리드 표시가 되어 있다면 자동차 디자인을 위한 그리드 표시는 50mm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