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자동차 소식

자동차 디자인을 위한 문제의 정의 단계와 아이디어를 얻어내는 Ideate 단계

by 자동차차차 2022. 4. 3.

자동차 디자인을 위한 문제의 정의 단계와 아이디어를 얻어내는 Ideate 단계에 대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디자인을 위한 문제의 정의 단계

디자인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정의 단계

자동차 디자인을 위한 단계 중 Emphathize의 단계 다음은 Define의 단계입니다. 문제를 정의하는 단계로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발견하게 된 니즈와 이를 반영하는 디자인의 목표 방향을 설정하고 제품의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통상적으로 기업에서의 제품 개발단계에서 시장조사를 통한 분석을 통하여 기회 요소를 찾아 정의하게 된 Market Requirement Document와 시장에서의 기회 요소에 맞는 제품의 요구사항을 만들어 내는 Product Requirement Document를 작성하는 시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Design Brief인 디자인 개요를 이때 만들어내게 됩니다. 본격적인 디자인 실행에 앞서서 디자인의 목표와 전략, 이슈들을 점검한 뒤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에 있어 참고해야 하는 세부적인 사항과 작업 지침들을 기록하여 프로젝트의 관련자들과 공유를 하게 됩니다.

 

 

디자인 브리프의 정의와 역할

디자인 브리프는 디자인의 결과물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디자인 프로세스의 전반에 걸쳐서 디자인이 잘 진행이 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점검도구로 사용이 됩니다. 또한 디자인 과정에서의 오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최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만들어내다 보면 처음 의도했던 방향에서 쉽게 벗어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자인 브리프 포함되는 내용은 프로젝트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고서나 리서치의 배경 요약과 프로젝트의 목표와 목적, 진행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 개요, 목표로 한 소비자들의 특징, 마케팅 방식, 시장 규모 등과 같은 시장에 대한 분석, 경쟁자에 대한 파악, 경쟁 시장에 대한 분석, 자동차 디자인 제작 방식 및 비용, 진행 일정 등입니다.

 

 

SWOT 분석을 통한 내외부 분석

이러한 디자인 브리프 작성을 위해 대내외적 상황을 파악하는 툴 중 대표적인 예가 SWOT 분석입니다. 기업 내부의 환경을 분석해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 요소들을 찾아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한 전략을 구사하는 방식입니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기업의 전략과 연동이 되어 작동을 하며 목적과 목표에서 벗어나게 된 디자인은 비용의 낭비와 시행착오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 브리프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기업 전략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얻어내는 Ideate 단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

디자인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는 Ideate라고 물리는 목표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내보는 단계입니다. 브레인스토밍은 머릿속에 폭풍을 일으킨다는 말로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제시하고 아이디어들을 취합, 보완, 수정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얻어내는 방법입니다. 미국 광고회사를 운영하였던 알렉스 오스본이라는 사람이 1930년대에서부터 사용한 일종의 토의 방식으로 프로젝트나 문제에 관련하여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말하고 창의성을 독려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브레인스토밍이 가지는 단순 회의와의 차이점

브레인스토밍이 다른 회의와 다른 것은 아이디어 발상 과정에 있어 그 어떤 판단도 보류하고 말이 안 된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까지 최대한 수렴하여 수용을 한다는 것입니다. 브레인스토밍의 성공을 위해서는 먼저 타인의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을 하지 말고 자유분방한 분위기에서 모든 아이디어를 환영해야 하며, 되도록 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어야 합니다. 황당하게 느껴질 수 있는 생각이나 아이디어도 망설임 없이 제시를 하고 비판을 하지 않음을 통해 흔히 말하는 양보다 질이 아닌 질보다 양이라는 마인드로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 수집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아이디어 수집 이후의 과정

이후 모든 아이디어들을 기록한 다음 객관성을 위하여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다시 평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평가를 하는 자리에서는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과 독창성을 고려하여 냉정하게 검토하고 비판하여 발전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발전된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상식적인 사고에서는 도출할 수 없었던 독특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